책을 사게 된 계기
내가 데이터과학을 처음 접했을 때는 2학년 수업시간이었다. 경영 정보 시스템 수업시간에 래피드마이너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고 이를 통해 경영적으로 의미있는 아이템을 짜서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조별과제였다. 물론 데이터라는 말을 들은 시점은 더 전이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면서 인공지능이다 빅데이터다 뉴스에서 떠들어댈때 그냥 지나가면서 들었을 뿐이지만 말이다.
그리고 마침내 본격적으로 데이터과학이라는 분야에 매력을 느끼게 된 것은 3학년 시절 경영 시뮬레이션 수업을 들을 때다. 정확히는 시뮬레이션 수업을 같이 듣는 학우에 의해서 데이터과학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경영 시뮬레이션 수업에서도 조를 짜서 프로젝트를 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한 조원이 자신은 데이터 사이언스를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 말을 들을 당시에는 데이터 사이언스라는 단어가 너무 멋지게 들렸다. 평소에 회계, 마케팅, 경영전략 등의 수업을 들을 때 뭔가 학문을 배운다는 느낌보다는 잡기술들을 배운다는 느낌이 들어서 경영학이 싫어지고 있던 와중에 데이터 사이언스라는 단어를 들으니까, 경영학을 전공하면서도 '과학'의 영역을 탐구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집에 와서 인터넷으로 데이터과학에 대해서 자세히 찾아보니 그냥 상상한 것보다 더 멋진 학문이었다. 그 때 2학년때 배운 래피드마이너가 데이터과학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그 외에도 데이터과학의 놀라운 쓰임새들을 알게되었다.
평소에 통계학과 컴퓨터 코딩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었던 나는 데이터과학을 알게된 뒤로 데이터과학을 더 공부해서 데이터과학자가 되겠다는 꿈을 갖게 되었다. 그 뒤로 나는 통계학 수업도 듣고 데이터과학 관련 수업도 들으면서 데이터과학자에 대한 꿈을 키웠다. 하지만 나는 경영학에 흥미를 잃어서 학점이 낮았기 때문에, 통계학을 복수전공하기가 힘들었으며 데이터과학 수업은 1학기라는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데이터과학을 깊게 파기는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다. 높은 학년때문인지 아직 부족한 내 지식때문인지 데이터과학 관련 학회에 드는 것도 실패한 나는 데이터과학을 독학하기로 했다. 나는 혼자 통계학 서적을 보고, 파이썬이나 R을 공부했다.
이 책을 사게 된 계기도 데이터과학을 더 공부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 책은 데이터과학을 먼저 공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 받았다. 데이터과학 입문자를 위한 책이면서도 깊은 내용까지 자세히 나와있다고 했다. 책을 살펴보니 실제 대학교재로도 쓰인다고 하고 저자들도 믿을 만한 사람들이라 이 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앞으로 이 카테고리에 이 책을 공부하며 필기한 내용을 내가 공부했다는 증거삼아 올릴 예정이다.
책 제목 Doing Data Science 데이터과학 입문
저자 레이첼 슈트, 캐시 오닐
출판사 한빛미디어
책 소개(출처: 출판사 홈페이지)
데이터과학, 최고의 교과서
사람들은 데이터가 선거나 비즈니스 모형을 바꿀 수도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 이에 따라 데이터과학과 관련된 직업도 많이 생겨 났다. 하지만 데이터과학은 여러 학문이 섞여 있어 올바른 가이드 없이는 쉽게 진입할 수 없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이 책은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의 데이터과학 입문 수업을 바탕으로 데이터과학에 입문하려는 당신이 알아야 할 내용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총 16개 장에 걸쳐 소개되는 강의들에서는 구글, MS, 이베이 등 데이터과학자들이 사례 분석과 직접 사용하는 코드를 제시하면서 새 알고리즘, 방법론, 모형을 공유한다. 선형대수, 확률, 통계에 익숙하고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다면 이 책은 최고의 데이터과학 입문서가 될 것이다.
'관심 > Data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실기 최종 합격 후기 (4) | 2021.07.17 |
---|---|
[파이썬] Pythonic한 코드를 만드는 10가지 팁 (0) | 2021.07.09 |
[데이터과학 입문] 통계적 추론, 탐색적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과학 과정 ② (0) | 2019.08.04 |
[데이터과학 입문] Chapter 2. 통계적 추론, 탐색적 데이터분석과 데이터과학 과정 ① (0) | 2019.07.30 |
[데이터과학 입문] Chapter 1. 데이터과학이란 무엇인가? (0) | 2019.07.29 |
최근댓글